22일 대전·충남 지역산업 발전방안 토론회 개최

"대덕밸리에는 산업자원부의 국비(8백89억원)와 대전광역시의 지방비(3백20억원), 민자 등 총 1천2백44억원이 투입됩니다. 2006년까지 대덕밸리에 바이오벤처타운, 고주파부품연구센터, 지능로봇산업화 센터 등을 세울 예정입니다."

산자부는 22일 '대전·충남 지역산업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하고 2001년 5월∼12월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 용역을 맡겨 실시한 '대전·충청권 지역산업발전계획본 타당성 조사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토론회에는 대전·충남 경제관계인사, 공무원, 언론인 등 약 2백여명이 참석해 김현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의 '대전·충남 지역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들었다. 이 자리에서 김현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역산업발전 정도, 성장 잠재력, 전략산업의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볼 때 대덕밸리는 IT분야에서 정보통신기기·지능로봇이, BT분야에서는 생물산업전반이 특화시킬만한 경쟁력이 있다"고 발표했다.

주제발표에 이어서는 오박균 호서대 교수의 사회로 김종갑 산자부 산업정책국장, 이진옥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민종기 충남도 경제통상국장, 박경 목원대 교수, 온기운 매일경제신문 논설위원 등 5인이 토론을 벌였다. 한편 이 날 토론회에 나선 5인의 토론자들은 모두 공무원, 교수 등으로 기업대표의 토론 참가자가 없어 아쉬움으로 남았다. 다음은 이 날 토론회의 주요내용.

◆ 산자부 김종갑 산업정책국장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스스로가 발전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대전지역의 경우 연구개발역량을 어떻게 산업화 시키느냐가 관건이고 충남지역은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킹 작업이 이미 시작됐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여기에 지역이 직접 나서 추가적인 인프라를 발굴해야 한다. 앞으로 해마다 사업진척도, 지방의 자구노력을 체크해 중앙의 지원금액도 달라질 것이다. 비록 첫 해에는 산자부가 주도적으로 나섰지만 다음해부터는 지방이 직접 나서야 한다. 대전·충남지역의 지자체, 대학, 기업들이 스스로 노력해 다른 지역이 벤치마킹하길 기대한다.

◆ 이진옥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대전시는 5대 신산업을 발표하고 6개 분야 14개 사업을 시의 중점육성 사업으로 삼고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른 결과에 대해서는 대전이 갖고 있는 특장을 최대한 살리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지역별로 2∼3개 사업으로 균등화한 것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보완, 추가해 대전시가 지역발전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많은 지원을 해주길 바란다. 생물산업실용화센터나 영상미디어산업센터 등도 대전에 여력이 있다. 이 부분도 대전에 지원해줬으면 한다. 부지매입 등에 국비가 지원이 안 돼 시의 부담이 크다. 약 30%정도는 국비지원이 있었으면 한다. 산자부·과기부·정통부 등 중앙부처간 협의도 미흡한 것 같다. 총괄 조정해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으면 좋겠다.

◆ 민종기 충남 경제통상국장

충남 아산지역이 우리나라 전자정보의 최고 집적지로 떠오를 것이다. 이를 집적화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10만평 가량의 외국인 전용단지를 지정해 줬으면 한다. 오늘 발표된 사업은 어떻게 효과를 넓혀나가느냐가 관건인데 그 운영비를 지자체에만 부담을 주지 말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고심해 주길 바란다.

◆ 박경 목원대 교수

지역 스스로 잠재역량과 핵심역량을 키우고 하드웨어적 지원에서 탈피, 소프트웨어적 지원과 네트워크 개념을 도입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혁신시스템이다. 지역의 발전가능성 있는 사업을 발굴, 육성한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지역혁신시스템이란 것이 아직 구체적인 전략도 세우기 어렵고 경험도 없어 혼동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지역이 스스로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분권화가 선결되어야 할 과제다. 기획력이 지방에 와 있어야 한다. 이번 사업을 기획한 삼성경제연구소는 서울에 있다. 돈도 산자부가 갖고 있다. 정책입안과 자금도 지방에서 실시돼야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업이 기술중심이라는 점도 되돌아봐야 한다. 지역혁신시스템이라는 것이 네트워크를 통한 연계에 기반을 둬야 함에도 기술중심으로 흘러가 사업계획이 짜여진 점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온기운 매경 논설위원

IT·BT 등은 수도권과의 충돌이 불가피하다. 수도권과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역의 유망사업은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고 NT·ET 등 다른 산업의 가치도 살펴봐야 한다.

◆ 대전시 조준호 도시개발사장

수도권이나 타 권역과의 중복을 피하는 것도 좋지만 정치적 차원보다는 국가 산업발전적 측면에서 지역산업 발전을 도모했으면 한다. 정치적인 논리와 유사한 센터의 분할, 지역안배는 지양해야 한다. 21세기 국가산업발전을 지향하는 차원에서는 보다 많은 재원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각 부처의 통합적인 협력을 건의한다.

◆ 텔트론 이재진 사장

선택과 집중에 의한 토픽선정은 좋다. 하지만 투자패턴을 보면 4∼5년은 되야 프로젝트로 구성될 것 같은데 시장상황은 고려됐는지 묻고 싶다. 시장형성 후에 이런 사업들이 진행된다면 시장진입이 늦어질 수도 있지 않는가? 중앙정부에서 조기투자 한다면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