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근 교수 "다양한 조직 병리 연구 활용 기대"

홀로그래피로 뇌 조직 구조를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총장 강성모)는 박용근 물리학과 교수와 정용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홀로그래피 영상 기술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환을 정량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광학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뇌 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해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양전자 단층 촬영(PET)과 같은 기존 영상 촬영 기술들을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0.1밀리미터 이하의 세밀한 구조는 관찰하기 힘들다는 어려움이 존재해 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직 병리학 기법을 이용해 뇌의 단면 구조를 관찰했지만, 뇌 조직이 투명하기 때문에 촬영을 위해선 염색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조직 병리로 얻은 정보는 정성적 정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질병 진단에 필요한 정량적, 객관적 기준을 제공하기 어렵다.

그런 가운데 KAIST 연구팀은 먼저 홀로그래피 현미경 기술을 통해 뇌 구조의 정보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의 홀로그래피 현미경은 빛의 간섭을 이용해 별도의 염색 과정 없이 조직의 굴절률 분포 수치 영상을 계산할 수 있다. 연구팀은 뇌 조직 내에서 빛이 산란되는 평균 거리와 산란광이 퍼지는 방향성을 정량화했다.

홀로그래피 현미경 모식도.<사진=KAIST 제공>
홀로그래피 현미경 모식도.<사진=KAIST 제공>
연구팀은 이어 빛의 산란 평균 거리와 방향성 분포를 이용해 알츠하이머 인자를 가진 쥐의 뇌 조직에서 발생하는 구조 변화와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모델 쥐의 해마와 중추신경에서 신경세포가 모여 있는 회백질의 산란 평균 거리와 방향성이 정상 모델에 비해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해마 내 산란되는 평균 거리는 약 40%가 감소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해마와 회백질 구조가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손상되고 불균일해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 뿐 아니라 파킨슨 병 등 다른 질병 연구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용근 교수는 "최근 창업한 Tomocube(토모큐브) 사의 제품을 이용해 관련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새로운 방법을 적용시켜 다양한 조직 병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