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GIST 교수 연구팀 성과
카메라·라이다 센서 활용해 착륙 환경 파악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를 드론의 2축 짐벌에 설치해 지면의 높낮이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면의 기울기를 계산해 착륙 시 넘어지지 않는 평평한 지면을 찾을 수 있다. [사진=GIST]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를 드론의 2축 짐벌에 설치해 지면의 높낮이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면의 기울기를 계산해 착륙 시 넘어지지 않는 평평한 지면을 찾을 수 있다. [사진=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이종호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스스로 안전한 장소를 찾아 자동으로 착륙하는 드론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와 라이다 센서로 측정한 거리 정보를 활용해 드론이 스스로 안전지대를 찾아 착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드론은 기울어진 지면에 착륙해 넘어질 위험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안전한 지면을 찾아 착륙할 수 있다.

이 드론은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 2개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착륙 판단이 가능해졌다. 두 가지 다른 센서의 장점을 결합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드론 택배를 비롯해 미래 스마트 무인항공기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지리적 한계를 극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임무를 가능케 해 운송비 절감 및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한 가지 종류의 센서만을 사용해 착륙 지점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내비게이션 길안내에 활용되는 GPS는 특정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만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나무, 잔디, 물, 언덕 등의 자연환경 뿐만 아니라 도심에서의 장애물이 있는 건물 옥상, 덤불, 연못, 경사진 장소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했다.

이종호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활용하면 주위 환경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어도 드론과 같은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다"며 "향후 드론 택배, 국방 및 치안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미래의 스마트 모빌리티 무인항공기 산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