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문대원·인수일 교수 공동연구팀, 질량분석 복합이미징 기술 개발

DGIST 문대원·인수일 교수 연구팀이 '다중 단백질 질양분석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질병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조기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진= DGIST>
DGIST 문대원·인수일 교수 연구팀이 '다중 단백질 질양분석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질병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조기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진= DGIST>
국내 연구진이 여러 종류의 세포막 단백질을 동시에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 복잡한 질병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조기 진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GIST(총장 국양)는 문대원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와 인수일 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다중 단백질 질량분석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바이오 이미징 기술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다. 질병의 조기진단이나 신약 개발 등에 필요한 기술로 생명공학, 물리, 화학, 기계전자 등 여러 분야 융합이 필수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은 형광 물질을 단백질에 입혀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이는 광학기술의 한계로 동시에 관찰 가능한 단백질은 3~4가지 정도로 분석에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SIMS 분석법(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2차 이온 질량 분석법)을 적용해 세포막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SIMS 분석법은 가속 이온을 이용해 주로 반도체 제조를 위한 극미량의 불순물 분석에 활용되는 기술인데, 최근에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가속 이온의 파괴적인 특성 때문에 지질 분자 이미징 정도만 가능했고, 단백질 이미징은 불가능해 SIMS 분석법을 통한 바이오 이미징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SIMS 분석법이 수십 종의 산화금속을 분석하고 이미징 할 수 있다는데 착안했다. 감도가 높은 산화금속 나노입자를 항체에 접합시킨 후 이 항체를 단백질과 결합시켰다. 이후 300나노미터 분해능으로 이미징 해 세포막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모델 실험쥐의 해마 조직에 적용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7종의 단백질 이미지를 동시에 관찰 할 수 있었다. 또 알츠하이머 병이 진전되면서 여러 단백질들의 분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규명했다.

문대원 석좌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통해 기존 형광 분광 이미징 기술보다 이미지화 할 수 있는 단백질 분자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의 높은 SIMS 감도를 활용해 시료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세포막에서의 단백질 상호 작용 관찰을 가능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과학저널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지난 15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