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고려대-UNIST-현대자동차-화학연 등 공동연구

국내 연구진이 장거리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차 배터리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장거리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차 배터리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사진=KAIST]
1회 충전으로 장거리 운행을 가능케 하는 전기차 배터리 전해질 첨가제 기술이 개발됐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최남순 생명화학공학과 연구팀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상온 및 고온 장수명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곽상규 고려대 교수팀, 홍성유 UNIST 교수팀, 현대자동차,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연구로 가능했다.

1회 충전에 500km 이상 운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높은 가역용량을 가지는 니켈리치 양극과 흑연보다 10배가량 높은 용량을 발현하는 실리콘 음극 물질이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전해질 첨가제 연구는 기존 물질들의 스크리닝 기법을 통하여 시행착오를 거쳐 개발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신규 전극 소재에 대응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보였다.

연구팀은 전해질 첨가제 설계 초기 단계부터 타겟으로 하는 양극과 음극에 적합한 작용기를 분자공학적 기법으로 조합해 첨가제를 디자인하고 합성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디자인된 전해질 첨가제는 전자 수용 및 전자 공여 그룹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고용량 실리콘 기반 음극 및 니켈 리치 양극 표면에 고체전해질 계면막을 형성해 전지의 상온 및 고온 수명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번 연구의 강점은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높은 합재밀도를 가진 실리콘 기반 음극과 니켈 리치 양극을 사용하여 배터리의 저온, 상온 및 고온 장수명을 실현하면서도, 저비용으로 극대화된 효율을 낼 수 있는 전해질 첨가제 디자인 방향성이다.

제1 저자인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문현규 연구원은 "개발된 전해질 첨가제는 내열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전극 계면 층을 형성해 전기차 구동 온도 45도에서 실리콘 기반 음극과 니켈 리치 양극으로 구성된 전지의 반복적인 300회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72.5%를 발현가능했다"면서 "이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인 비닐렌 카보네이트(VC),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 대비 각각 54%, 38% 향상된 수준"이라고 말했다. 

최남순 교수는 "양산 수준의 전극 로딩 조건에서 저온에서부터 고온에 이르기까지 온도 내구성이 뛰어난 전극 계면 층을 형성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해질 첨가제 기술로서 전기차 배터리 등에 활용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터리얼즈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4월 4일 온라인에 공개됐다.

[연구자료]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