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이슈포럼 '후쿠시마 사고 10년, 현재 원자력은?'
韓 후속조치·응력시험·사고관리계획서 등으로 안전성↑

한국원자력학회가 주관하는 원자력이슈포럼이 3월 8일 '후쿠시마 사고 이후 10년, 현재의 원자력은?'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사진=원자력이슈포럼 생중계 갈무리]
한국원자력학회가 주관하는 원자력이슈포럼이 3월 8일 '후쿠시마 사고 이후 10년, 현재의 원자력은?'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사진=원자력이슈포럼 생중계 갈무리]
지난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原電) 사고가 한국에는 안전성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사고 이후 한국 내 가동원전 안전성을 3차례에 걸쳐 조치했다는 배경에서다.

한국원자력학회는 8일 '후쿠시마 사고 이후 10년, 현재의 원자력은'이란 주제로 원자력이슈포럼을 개최했다. 

김한곤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장은 "2011년 후쿠시마 후속조치와 2013년 응력 시험(Stress Test), 그 이후 '사고관리계획서' 등으로 안전성이 확보됐다"고 설명했다. 

후쿠시마 후속조치는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에 계속운전과 연계해 안전성을 심층적으로 검토한다는 취지로 수행됐다. 당시 정부와 한수원이 발굴한 후속조치는 총 56건 도출됐다.  주요 조치 내용은 ▲비상대응·운영 ▲중대사고 ▲전력설비·사용추연료냉각 ▲지진·해일 분야 등 4개로 나뉜다. 

응력(應力) 시험은 자연재해로 인해 원전 기능을 상실할 경우 대응 능력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중대사고로 확대됐을 때 사고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 비상 대응 능력, 운영 기술 능력 등을 평가한다. 이 시험은 그동안 고리 원전1호기, 월성 원전1호기에서 수행됐다.

김 원장은 "스트레스 테스트 이후 두 번에 걸쳐 국내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확인 받았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기준과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사고관리계획서'는 어떤 전략으로 사고를 관리할지에 대한 전략을 담은 것이다. 한수원은 극한 재해 시 중대사고 예방을 위한 다중방호개념 전략(MACST)을 구축했다. 

MACST는 3단계로 대응전략이 구성됐다. 첫 번째 단계는 사고 발생부터 8시간까지 발전소가 초기에 버틸 수 있도록 기존 고정형 설비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8시간은 이동형 설비를 가져올 수 있는 기준이다. 사고 발생 이후 72시간까지는 부지 내 이동형설비를 활용하는 단계, 그 이후는 가용 가능한 모든 설비를 활용하는 단계로 전략을 구축했다. 

김 원장은 "설계 기준을 초과한 사고들이 법의 테두리에 들어왔다"며 "사고관리계획서는 전체 원전에 대해 작성이 완료돼 2019년 6월 규제기관에 제출, 현재 심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원전은 사고관리 전략 하에 ▲하드웨어 구비 ▲하드웨어를 보관 및 운영 ▲원전 설비 개선 ▲전담 조직 운영 ▲관련 절차 신규 개발 ▲사고관리 능력 평가와 안정성 목표 평가 ▲신규 교육, 훈련 체계 개발 등 모든 원전에 대해 이행이 종료될 때까지 꾸준히 수행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원장은 "현재 가동원전에 대한 안전성과 규제위반 조치, 사업자 조치는 꾸준히 강화되고 있다"며 "또 10년마다 한 번씩 주기적 안정성 평가도 최신 기술 기준이 바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에 나섰던 박문규 세종대 양자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자력 발전은 앞으로 계속해서 안전을 걱정할 필요 없도록, 위험을 원천봉쇄할 수 있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며 "수십년 전 기술 수준으로 원전을 보지 말고 과학자들을 믿고, 우리의 노력을 편견 없이 바라봐줬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