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KPS 예타 통과, 역대 최대 R&D 규모
내년 사업 착수해 2035년까지 총 8기 위성배치 진행
"사용목적 분명히 해야" 예산 관련 우려 목소리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이 지난 25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사업비는 약 3조7234억5000만원. 우주개발 분야 역대 최대 연구개발(R&D) 규모다. 내년 사업에 착수해 위성 1호기 발사, 시범서비스에 이어 2035년 개발을 완료한다는 입장이다.

◆ KPS 뭐길래?

KPS는 한국형 GPS다. 그간 한국은 미국의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활용했다. 자체적인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를 보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네비게이션 사용 시 목적지 안내에 오차가 있는 것이 바로 이같은 이유에서다. 현재 GNSS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과 러시아, 중국이다.  

GPS 오차는 최대 20m로 알려진다. 한국은 이번 KPS 사업 예타통과로 그 오차를 cm 단위까지 줄일 수 있게 됐다.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렇게 되면 자율주행차, 플라잉카(도심항공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우주, 국방 분야에서도 독보적 기술 개발이 가능해진다. 

또 KPS 개발에 따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권하고 있는 항법보강시스템(SBAS)도 자연스럽게 구축된다. SBAS는 추가적인 위성방송메시지를 사용해 GNSS의 위치오차를 보정, 광범위한 지역에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GNSS 위성은 높은 고도에 위치해 지역에 따른 시차와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SBAS를 통한 지상국에서의 보정은 필수다.  

현재 한국은 항공기와 선박의 충돌방지정보 제공에 외국의 SBAS를 활용하고 있다. KPS 개발 시 자체 SBAS 시스템 구축도 진행될 전망이다.

허문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는 "정확한 위치 정보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까지 GPS 위성 기반 정보는 우리가 원하는 정보에 딱 들어맞는 수준은 아니었다. KPS가 개발되면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수인 드론이나 자율주행 부문 기술 개발과, 국내 ICT 기술 접목 등 4차 산업혁명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치정보 서비스 주권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KPS 기대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반면 역대 규모의 예산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익명 관계자는 "글로벌 시스템인 GPS(미국), 갈릴레오(EU), 글로나스(러시아), 베이더우(중국)에 비해 일본과 같은 지역한정인 KPS에 약 4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는 "KPS의 사용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자칫 4조원의 예산이 기회비용으로 사라질 수 있다"면서 "최근 한미 협력으로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미국 기업들만 혜택을 보는게 아니라 국내 우주산업 기술이 발전할 수 있는 분명한 기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KPS 개발, 어떻게?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내년 사업 착수를 시작으로 3기의 정지궤도위성과 5기의 경사궤도위성이 쏘아올려질 예정이다. 2027년 경사궤도위성 1호기 발사를 시작으로   ▲34년 시범서비스 ▲35년 총 8기의 위성배치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과기부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뿐만 아니라 한컴인스페이스, LIG넥스원, AP위성 등 기업도 함께한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선 미국과의 협력이 체결된 바 있다.

과기부는 올해 하반기에 사업 기본계획을 구체화하고, 사업예산 확보를 추진하는 등 내년 사업 착수를 준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